top of page

[그릿마인드랩ː취업] 성남일자리센터 <코로나와 일자리시장의 변화> 온라인 특강

  • gritmindlab
  • 2022년 3월 10일
  • 4분 분량

안녕하세요! 그릿마인드랩입니다^^

드디어 3월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릿마인드랩도 새로운 마음으로 달려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방지혜 대표님께서 성남일자리센터에서 진행하신

<코로나와 일자리 시장의 변화> 온라인 특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성남 일자리센터에서 홍보 포스터도 제작해주셨네요^^

코로나로 인해서 일자리 시장의 변화가 굉장히 많았는데요.

코로나19 이전 일자리 시장의 화두는 '일의 미래'였습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어 자동화, 플랫폼화가

진전되면서 일하는 방식과 형태가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습니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의 자동화로 노동의 소멸이라는 우려가 가장 많았고,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확산으로 임금노동이라는 전통적인 고용 형태가

크게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현재 코로나19가 3년째 지속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예측과 전망을 강화할 것이라는 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코로나가 감염병이라는 특성상 비대면 경제활동을 촉진함으로써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화를 가져올 것이고, 이미 진행중입니다.

코로나는 경제, 생산 등 다양한 방면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일의 미래'를 '현재의 일'로

빠르게 바꾸어 나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빠른 변화에 맞추어 일자리 시장에서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분석이 필요합니다.

방지혜 대표님께서는 성남 일자리센터 취업준비생들과 함께 현재 일자리시장의 위치와

취업을 하기 위해 무엇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지 다각도의 시점에서 분석하셔서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성남 취업준비중인 청년분들 모두 열심히 참여해주셨는데요, 대표님께서도 목이 쉬도록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대표님이 진행하신 강의를 통해 모두 코로나 시대의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그릿마인드랩 블로그를 찾아주신 여러분들을 위해 코로나 시대의 채용시장의 변화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77만3천명 늘었습니다.

고용 타격이 컸던 1년 전과 견주어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전월비(계절조정)로 봐도 증가세는 꾸준했습니다.

하지만 고용 회복을 체감하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업종마다 온도차가 극심해서입니다. 전통적 일자리는 겨우 명맥만 유지하거나 사라지고,

새로운 시장에 기회와 일자리가 몰렸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화와 플랫폼 산업 및 노동이 확산되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이후로 가장 크게 변화한 점들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코로나19로 기회 얻은 산업들

인력 수요가 폭발하는 정보통신업을 비롯해 전문과학기술업, 운수창고업 등 3개 업종이 대표적인 ‘뜨는 산업’입니다. 통계청 고용동향 통계를 보면, 정보통신업과 전문과학기술업은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직전인 2020년 2월과 비교해 한때는 취업자 수가 95~97%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에는 각각 109.9%와 107.9%까지 회복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습니다. 단순히 위기 전 상황을 되찾는 단계에 그치지 않고, 게임회사나 유니콘 스타트업 등 아이티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연봉을 올려가며 개발 인력 쟁탈전에 나설 정도 입니다.

운수창고업도 2021년 연간 취업자 수가 전 산업 가운데 두번째로 많이 늘면서 지난해 12월 현재 코로나19 직전 수준을 108.5% 회복했다고 합니다. 버스·택시 등 육상여객과 항공여객 등이 심각하게 휘청였음에도 택배 중심의 생활물류 분야에서 일자리가 크게 증가한 결과겠죠?

제조업은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로 보면 코로나19 직전 대비 98.3%에 그쳤는데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코로나19를 겪은 2년 사이(2019년11월 대비 2021년11월)에 1.7% 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의복 제조업은 2년 사이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11.7% 감소했고 가방 및 신발 제조업도 7.7% 줄었습니다.

코로나19로 기회를 얻은 곳도 적지 않습니다. 가정용기기제조업은 2년 내내 고용 타격도 없이 피보험자가 22.2%나 늘었는데요, 이는 ‘집콕’하는 시간이 늘어난 영향입니다.

비대면 수업이나 회의가 늘면서 통신방송장비제조업은 2년 사이 피보험자가 7.5% 늘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일자리가 줄어왔던 업종이지만 최근에는 반도체 제조업 못지않은 수의 일자리를 만들고 있습니다. 배달이 늘고 종이·플라스틱 용기 수요가 늘어나면서 종이상자제조업(5.3%), 플라스틱제품제조업(4.3%)에서도 코로나19 이후 증가세가 나타났습니다.

도·소매업은 지난 한 해 동안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대표적인 ‘지는 산업’입니다. 최근 10여년 사이 온라인 쇼핑이 늘면서 일자리가 크게 줄었는데 그 변화를 코로나19가 촉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소매업은 지난 2년 동안 단 한 번의 반등도 없이 꾸준한 감소세를 보였고,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로 보면 코로나19 직전 대비 93.4% 수준입니다. 하지만 전자상거래 소매를 중심으로 한 무점포 소매업에서만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2년 사이 3만6천명(43%)이나 늘었습니다.

2. 생산이 늘어도 따라 늘지 않는 고용(자동화와 비대면화)

코로나19는 자동화와 비대면화를 부추겼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사라져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일자리가 꽤 많다는 뜻인데요.

이미 서비스업생산지수 기준으로 상당히 회복했음에도 일자리는 따라오지 않는 업종이 적지 않습니다. 섬유·의복·신발 및 가죽제품 소매업은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타격을 입은 뒤 금세 회복했고 지난해 11월 현재 생산지수(계절조정)가 위기 전 대비 27%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2년 동안 8.9% 감소한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연료소매업은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크지 않았음에도 지난 2년 동안 일자리 감소폭이 커져 피보험자가 7.2% 이상 줄었는데요, 이는 최근 들어 ‘셀프주유소’가 급증한 탓입니다.

숙박음식업도 마찬가지인데요. 음식업 생산지수는 2020년 2월 이후 코로나19 확산 추이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다가 지난해 3월부터는 완만한 개선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지속해서 줄고 있고 이제 일상 깊숙히 키오스크가 들어왔습니다.

숙박업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회복세가 가팔라지면서

지난해 11월엔 생산지수(계절조정)가 2020년 2월 대비 33% 이상 상승했지만,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지난 2년 내내 줄어 총 9.2% 감소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끝나도 사라진 일자리가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합니다.

코로나 2년 동안 산업계는 새로운 상황에 빠르게 적응해

디지털화·자동화·비대면화를 받아들였기 때문인데요.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정책연구본부장은 “장기적인 산업 변화는 이미 진행이 됐고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마찰을 완화하는 것이 정책적 과제”라며

“코로나19 이후 1∼2년 정도는 자동화가 특히 심한 업종에 고용 유지와 창출을 위한 고용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직업 훈련 투자를 늘리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3. 직업 인식의 변화


코로나 이후 직업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의 여파로 취업시장에서의 고용형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긱잡(gig job)'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긱잡은 필요할 때마다 계약직, 임시직 등을 섭외해 일을 맡기는 신규 직업형태입니다.

한 직장에서만 일하고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는 전통적 일자리 개념이 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젊은 구직자들은 빠른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비정규 프리랜서 근로형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1위 : 여러 일을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서

2위: 원하는 시간에 비교적 자유롭게 근무할 수 있을 것 같아서

3위: 일자리가 늘어나서 취업시장의 일자리 부족 문제가 다소 해결될 것 같아서

4위: 본업 외에 추가적인 수입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서

5위: 전공, 특기를 살려 나에게 맞는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6위: 장소 제한 없이 집 등에서 편하게 근무를 하는 근로 형태가 확산될 것 같아서

의 순서로 나타났는데요.

전통적으로 하나의 안정된 직업을 오래 가지려는 풍토에서 벗어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직무를 경험해보고 싶은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들이 변했지만,

변화의 시기가 압당겨졌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변화는 예정되어 있었던 것이고,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예정이니

모두 변화된 시대에 빠르게 적응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진정한 위드 코로나 시대가 온 만큼,

모두 열심히 준비하셔서 변화되는 채용시장에서 성공취업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카카오톡 채널로 언제든지 해주세요!



그릿마인드랩은 언제나 여러분의 성공취업을 응원합니다.

그릿마인드랩의 아래의 강의를 기획, 운영할 수 있습니다.

1. 자기분석-직무분석-기업분석을 통한 취업준비

2. 직무기술서와 KSA 파헤치기

3. 직무란 무엇일까? 직무에 대한 모든 것

4. KSA 기반 자기소개서 작성

5. KSA 기반 면접대비 실전

6. NCS 공기업 특강

7. 공기업 취업 프로세스 한방에 정리하기

8. 공기업 취업대비 NCS 문제풀이 실전강의

직무, NCS와 관련된 강의문의는 아래의 폼을 이용하시거나

02-537-4010 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교육문의 : 강의 중에는 전화통화가 어려울 수 있으니

메일이나 문의url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 홈페이지: www.gritmindlab.com

- 메일 : gritedu@gritmindlab.com


 
 
 

Comments


  • Facebook_f_logo_(2019).svg
  • 유튜브
  • instagram-png-icon-5a355496afc1f0.5157867315134445027199

Good influence today, 그릿마인드랩

대표자: 방지혜
사업자등록번호: 190-02-01553
T 02-537-4010  F 070-7966-4011

E gritedu@gritmindlab.com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 22, 3층 310호
Copyright(c) 2022 그릿마인드랩.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